디지털부여문화대전 > 부여향토문화백과 > 삶의 터전(지리) > 인문 지리 > 향토지
-
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연혁, 지리, 인물, 산업, 문화, 풍속 따위를 기록한 책. 부여군 지역을 소개하는 읍지는 『삼국사기(三國史記)』[1145]로부터 시작된다. 『삼국사기』 지리지를 보면 가림군(加林郡) 조와 부여군(扶餘郡) 조에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 가림군과 부여군 지리 정보가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다. 고려 시대의 경우 『고려사(高麗史)』 지리지에 정보가 담겨져 있고,...
-
조선 전기에 편찬된 관찬 지리지인 『신증동국여지승람』에 수록된 충청도 부여현편. 『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』 부여현(扶餘縣)은 1530년(중종 25)에 『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』을 중수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이다. 충청도 부여현[충청남도 부여군의 옛 행정 구역]의 지리·풍속·인물 등 여러 측면이 종합적으로 수록되어 있다....
-
조선 후기에 편찬된 『여지도서』에 실린 충청도 부여현의 읍지. 『여지도서(輿地圖書)』 부여현(扶餘縣)은 18세기 중엽 각 읍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성책(成冊)한 『여지도서』에 수록된 충청도 부여현의 읍지이다. 『여지도서』는 270여 년 전에 편찬된 『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』[1486]을 기초로 하였으며, 호구(戶口)는 1759년 기묘장적(己卯帳籍)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. 이를...
-
조선 후기 편찬된 충청도 부여현의 읍지. 『부여현읍지(扶餘縣邑誌)』는 충청도 부여현의 연혁, 인문 지리,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이다. 편찬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. 『부여현읍지』[규10765], 『부여현읍지』[규17376] 2책이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. 『부여현읍지』[규10765]는 영조(英祖)[1694~1776] 시기의 사실을 기록하고 있고, 『부여현읍지』[규17...
-
1786년경 편찬된 충청도 석성현의 읍지. 『석성읍지(石城邑誌)』는 충청도 석성현[현 부여군 석성면]에서 파악한 전결(田結)·호구수(戶口數)·전세(田稅)·대동(大同) 등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이다. 읍지의 편찬 시기는 1786년경으로 추정된다....
-
2003년 부여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부여군의 지리지. 『부여군지(扶餘郡誌)』는 2003년 부여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부여군의 지리지이다. 부여군의 지리, 역사, 정치 행정, 산업, 문화 등의 정보를 수록하였다,...
-
1929년 충청남도 부여군청에서 간행한 부여군지. 『부여지(扶餘誌)』는 1929년 부여군청에서 부여군의 지역 정보를 모두 수집하여 정리하고 간행한 읍지류이다.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