항목 ID | GC09000956 |
---|---|
한자 | 韓樂山 |
영어공식명칭 | Han Naksan |
이칭/별칭 | 천룡구(千龙九),천수봉(千水峰),한락산(韩洛山),최만성(崔万声),진락삼(陈乐三) |
분야 | 역사/근현대 |
유형 | 인물/의병·독립운동가 |
지역 | 충청남도 부여군 |
시대 | 근대/일제 강점기 |
집필자 | 이혜영 |
출생 시기/일시 | 1915년![]() |
---|---|
수학 시기/일시 | 1937년 - 한낙산 중국 남진 조선혁명간부학교 졸업 |
활동 시기/일시 | 1937년 - 한낙산 조선의용대 편입 |
수학 시기/일시 | 1938년 - 한낙산 중국 연안항일군정대학 입학 |
몰년 시기/일시 | 1943년![]() |
추모 시기/일시 | 2001년![]() |
출생지 | 가증리 -
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
![]() |
성격 | 독립운동가 |
성별 | 남 |
[정의]
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.
[활동 사항]
한낙산(韓樂山)[1915~?]은 1915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에서 태어났다. 1937년 중국 난징[南京]에 있는 조선혁명간부학교를 졸업하고 조선의용대에 편입되었다.
조선의용군 열사에 관한 서적에 의하면 한낙산의 원래 이름은 천룡구(千龙九)이며, 일명 천수봉(千水峰), 한락산(韩洛山), 최만성(崔万声), 진락삼(陈乐三) 등으로 통하였다. 중국 중앙군관학교 제11기 제2총대 기병과를 졸업한 후 특별반 제6기 제4중대 견습군관으로 활동하였다. 1938년 말 연안항일군정대학에 입학하였고 졸업 후 산동분맹과 화북지대에 편입되었다. 그 후 한낙산은 화중 신사군 제4사 사령부 군사교원과 교육참모로 활동하다가 1941년 4월 6일 하남성 영성현 만루 전투에서 사망하였다. 그러나 대한민국 공적조서에는 조선의용대에 소속되어 타이항산구[太行山區] 등지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벌이다 1943년 전사한 것으로 확인된다.
[상훈과 추모]
대한민국 정부는 한낙산의 공적을 기려 200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.